언어 Language

Alan Kay에게 Object-Oriented Programming이란 어떤 의미일까?

Tap to restart 2025. 3. 30. 10:00

Alan Curtis Kay는 누구?

Object-Oriented Programming(OOP)이란 용어를 처음으로 만든 사람이다. OOP 개념의 창시자다. OOP를 명확히 이해하려면 만든 사람이 어떤 생각을 갖고 만들었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Alan Kay에게 OOP란 어떤 개념이었을까?

2003년 7월 23일 Stefan Ram(베를린 자유 대학 교수로 추정)이란 사람이 Alan Kay와 주고 받은 메일이 있다. 

 

출처: http://userpage.fu-berlin.de/~ram/pub/pub_jf47ht81Ht/doc_kay_oop_en

Date: Wed, 23 Jul 2003 09:33:31 -0800
To: Stefan Ram [removed for privacy]
From: Alan Kay [removed for privacy]
Subject: Re: Clarification of "object-oriented"
[some header lines removed for privacy]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s-ascii" ; format="flowed"
Content-Length: 4965
Lines: 117


Hi Stefan --

Sorry for the delay but I was on vacation.

At 6:27 PM +0200 7/17/03, Stefan Ram wrote:
>   Dear Dr. Kay,
>
>   I would like to have some authoritative word on the term
>   "object-oriented programming" for my tutorial page on the
>   subject. The only two sources I consider to be "authoritative"
>   are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which defines
>   "object-oriented" in "ISO/IEC 2382-15", and you, because,
>   as they say, you have coined that term.

I'm pretty sure I did.

>
>   Unfortunately, it is difficult to find a web page or source
>   with your definition or description of that term. There are
>   several reports about what you might have said in this regard
>   (like "inheritance, polymorphism and encapsulation"), but
>   these are not first-hand sources. I am also aware that later
>   you put more emphasis on "messaging" - but I still would like
>   to know about "object oriented".
>
>   For the records, my tutorial page, and further distribution
>   and publication could you please explain:
>
>     When and where was the term "object-oriented" used first?


At Utah sometime after Nov 66 when, influenced by Sketchpad, Simula, 
the design for the ARPAnet, the Burroughs B5000, and my background in 
Biology and Mathematics, I thought of an architecture for 
programming. It was probably in 1967 when someone asked me what I was 
doing, and I said: "It's object-oriented programming".


The original conception of it had the following parts.

  - I thought of objects being like biological cells and/or individual 
computers on a network, only able to communicate with messages (so 
messaging came at the very beginning -- it took a while to see how to 
do messaging in a programming language efficiently enough to be 
useful).

  - I wanted to get rid of data. The B5000 almost did this via its 
almost unbelievable HW architecture. I realized that the 
cell/whole-computer metaphor would get rid of data, and that "<-" 
would be just another message token (it took me quite a while to 
think this out because I really thought of all these symbols as names 
for functions and procedures.

  - My math background made me realize that each object could have 
several algebras associated with it, and there could be families of 
these, and that these would be very very useful. The term 
"polymorphism" was imposed much later (I think by Peter Wegner) and 
it isn't quite valid, since it really comes from the nomenclature of 
functions, and I wanted quite a bit more than functions. I made up a 
term "genericity" for dealing with generic behaviors in a 
quasi-algebraic form.

  - I didn't like the way Simula I or Simula 67 did inheritance 
(though I thought Nygaard and Dahl were just tremendous thinkers and 
designers). So I decided to leave out inheritance as a built-in 
feature until I understood it better.

My original experiments with this architecture were done using a 
model I adapted from van Wijngaarten's and Wirth's "Generalization of 
Algol" and Wirth's Euler. Both of these were rather LISP-like but 
with a more conventional readable syntax. I didn't understand the 
monster LISP idea of tangible metalanguage then, but got kind of 
close with ideas about extensible languages draw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Irons' IMP.

The second phase of this was to finally understand LISP and then 
using this understanding to make much nicer and smaller and more 
powerful and more late bound understructures. Dave Fisher's thesis 
was done in "McCarthy" style and his ideas about extensible control 
structures were very helpful. Another big influence at this time was 
Carl Hewitt's PLANNER (which has never gotten the recognition it 
deserves, given how well and how earlier it was able to anticipate 
Prolog).

The original Smalltalk at Xerox PARC came out of the above. The 
subsequent Smalltalk's are complained about in the end of the History 
chapter: they backslid towards Simula and did not replace the 
extension mechanisms with safer ones that were anywhere near as 
useful.


>
>     What does "object-oriented [programming]" mean to you?
>     (No tutorial-like introduction is needed, just a short
>     explanation [like "programming with inheritance,
>     polymorphism and encapsulation"] in terms of other concepts
>     for a reader familiar with them, if possible. Also, it is
>     not neccessary to explain "object", because I already have
>     sources with your explanation of "object" from
>     "Early History of Smalltalk".)


(I'm not against types, but I don't know of any type systems that 
aren't a complete pain, so I still like dynamic typing.)

OOP to me means only messaging, local retention and protection and 
hiding of state-process, and extreme late-binding of all things. It 
can be done in Smalltalk and in LISP. There are possibly other 
systems in which this is possible, but I'm not aware of them.

Cheers,


Alan

>
>   Thank you,
>
>   Stefan Ram

 

한국어로 번역하면 아래와 같다

안녕하세요 스테판
휴가 중이라 답장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 존경하는 케이 박사님
> 제 튜토리얼 페이지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라는 용어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정의를 실으려고 합니다. 제가 권위있는 출처로 간주하는 곳은 두 곳입니다. 국제표준기구와 박사님입니다. 왜냐하면 이 용어를 박사님이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만들었다고 확신합니다. 

> 안타깝게도, 박사님의 정의나 설명이 나와 있는 웹페이지나 공식 문서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상속, 다형성, 캡슐화 같은 개념과 관련해서 박사님이 그렇게 말했다는 보고는 많지만 1차 자료는 아닙니다. 박사님이 나중에는 "메시징"에 중점을 두신 것으로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객체지향"이라는 용어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기록을 위해서 제 튜토리얼 페이지, 출판을 위해 아래 사항을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 "객체지향" 용어는 언제 어디서 처음 사용되었나요?

제가 유타대학교에서 1966년 11월 이후에, Sketchpad, Simula, ARPAnet, Burroghs B5000 컴퓨터, 제 생물학 및 수학 배경에서 영향을 받아서 프로그래밍을 위한 아키텍처를 떠올렸죠. 아마 1967년에 누군가 제게 무슨 일을 하고 있냐고 물었을 때, 제가 이렇게 말했을 것입니다. "이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야."

원래 구상은 다음 같은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 저는 객체를 생물학적 세포 또는 네트워크 상의 개별 컴퓨터처럼 상상했죠. 이들은 오직 메시지를 통해서만 통신할 수 있죠(그래서 처음부터 메시지 개념은 처음부터 있었습니다. 언어 차원에서 효율적으로 메시징을 구현하는 방법을 찾는데 시간이 걸렸죠.)
- 저는 데이터 개념을 없애고 싶었습니다. B5000 컴퓨터는 놀라운 하드웨어 구조 덕에 거의 그 수준까지 갔죠. 저는 세포나 컴퓨터 은유가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대입연산자) 또한 하나의 메시지 토큰으로 보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이걸 생각해내는 데 시간이 꽤 걸렸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모든 기호들을 함수나 프로시저의 이름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 수학적 배경 덕분에 각 객체가 여러 개의 대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그것들이 서로 관련된 가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게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다형성(polymorphism)"은 아마 Peter Wegner가 나중에 붙인 것이고 사실 제 의도와 다릅니다. 이 용어는 함수에 대한 명명 체계에서 유래한 것이고, 저는 함수보다 더 많은 걸 원했습니다. 저는 이를 위해 "일반성(genericity)"라는 용어를 만들어, 준대수적인 방식으로 일반 행위를 다루려고 했습니다.
- 저는 Simula I이나 Simula 67에서 상속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물론 Nygaard과 Dahl은 정말 뛰어난 사상가이며 설계자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내장 기능에서 상속은 제외하고, 충분히 이해한 다음에 도입하려고 했습니다.

저는 이 아키텍처를 van Wijngaarten와 Wirth의 Generalization of Algol과 Wirth의 Euler 모델에서 따와서 실험했습니다. 두 언어 모두 LISP와 비슷하게 동작하면서도 더 읽기 쉬운 문법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 당시 저는 LIST의 구현 가능한 메타언어 개념은 잘 이해하지 못했지만, Irons의 IMP를 포함한 여러 출처로부터 확장 가능한 언어에 대한 아이디어에 근접한 방식으로 접근했습니다.

두 번째 단계는 LISP를 완전히 이해하게 된 후, 그것을 바탕으로 더 작고, 강력하고, 더 유연한 지연 바인딩 기반 하부 구조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Dave Fisher의 논문은 McCarthy 스타일로 작성되었고, 확장 가능한 제어 구조에 대한 그의 아이디어는 매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 시기 또 다른 큰 영향은 Carl Hewitt의 PLANNER 언어였습니다(PLANNER는 훨씬 이전에 Prolog를 예견했음에도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한 언어입니다).

이러한 모든 흐름이 모여 Xerox PARC에서 원래의 Smalltalk가 탄생했습니다. 하지만 이후에 나온 Smalltalk 버전들은 Smalltalk의 역사 마지막 장에서 언급했듯이 Simula 스타일로 후퇴했고, 기존 확장 매커니즘을 대체할 만큼 유용하면서도 더 안전한 방식으로 바꾸지도 못했습니다.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 (튜토리얼 같은 설명은 필요 없습니다. 예를 들면 "상속, 다형성, 캡슐화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같은 식으로 간단한 요약이면 충분합니다. "객체"에 대해서는 이미 박사님의 Smalltalk 초기 역사에서 설명을 찾았기 때문에 따로 설명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저는 타입 자체를 반대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접해 본 타입 시스템 중에 불편하지 않은 것을 본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여전히 동적 타이핑을 선호합니다.)

저에게 OOP란 오직 메시징, 상태-프로세스의 지역적 유지 및 보호와 은닉,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극단적 지연 바인딩만을 의미합니다. 이 방식은 Smalltalk와 LISP에서 가능합니다. 아마 이와 같은 방식이 가능한 다른 시스템도 있을 수 있지만, 저는 그런 시스템을 알지 못합니다. 

감사합니다.

앨런

> 감사합니다.
> 스테판 램

 

위 메일을 보면 객체 개념을 생물학적 세포에서 따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그에게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은 메시징, 상태-프로세스의 지역적 유지 및 보호와 은닉,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극단적 지연 바인딩을 뜻한다. 

OOP를 만든 앨런 케이의 의견을 봤을 때는 동적 타이핑을 지원하며 지연 바인딩을 제공하는 Python이나, Javascript가 더 OOP 개념에 가까운 언어라고 볼 수 있을 거 같다.

 

참고할 문서

http://userpage.fu-berlin.de/~ram/pub/pub_jf47ht81Ht/doc_kay_oop_en

Alan C. Kay, 1996, The early history of Smallta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