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rm 3

Q. 장고Django ORM에서 n+1 이슈란? n+1 이슈 해결 방법은?

A. n+1 이슈란 목록을 조회할 때 주로 발생하며, 연관된 데이터까지 가져올 때 데이터 개수(n으로 표현)만큼 추가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이슈를 뜻한다. 해결 방법은 쿼리셋을 가져올 때 select_related 또는 prefetch_related를 사용하는 것이다. n+1 이슈 예아주 간단히 카페 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API 서버를 만드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예제 코드: DRF - CRUD) 카테고리 테이블과 음료 테이블 두 개가 있다. 카테고리 테이블에는 커피, 티를 입력했고, 음료에는 카테고리를 커피로 선택해서 아메리카노, 카페 라떼, 에스프레소, 카푸치노를 입력했다. 카테고리 테이블과 음료 테이블 사이의 관계는 카테고리 1개에 여러 음료가 연결될 수 있으니 1 : n(일 대 다) 관계다. ..

FastAPI 바탕 프로젝트: 이메일 회원 가입과 JWT 토큰, MySQL 사용

Full Stack FastAPI and PostgreSQL - Base Project Generator, MIT License을 바탕으로 다른 프로젝트의 시작점이 될 수 있는 베이스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주요 기능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이메일과 비밀번호로 회원가입 - 비밀번호 암호화 - 관리자(superuser) 생성 - JWT 토큰으로 사용자 식별 및 권한 제어 - ORM 적용 - MySQL 사용 프로젝트 루트 디렉터리에 .env 파일을 만들어서 저장해둬야 정상 작동한다. .env 파일 예는 아래와 같다. 데이터베이스 정보와, 비밀키, 첫 관리자 생성 정보다. USERNAME=admin PASSWORD=verysecret HOST=localhost PORT=3306 DATABASE=app S..

플라스크Flask ORM 예제 프로젝트

ORM이란? ORM(Object-relational mapping)은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해주는 것을 뜻한다. ORM을 이용하면 객체를 다루듯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수 있다. SQL문 없이 데이터베이스에 내용을 추가Create, 조회Read, 변경Update, 삭제Delete CRUD 할 수 있다. 파이썬Python에서 장고Django가 ORM으로 유명한데 플라스크Flask에서도 할 수 있다. flask_sqlalchemy 팩키지를 이용하면 쉽게 ORM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젝트 예제 Flask ORM Example Project 위 프로젝트를 내려받아서 실행해보면 어떤 식으로 작동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반응형